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00
- 토요일 09:00 - 12:30
- 점심시간 12:30 - 14:00
일요일/공휴일 : 휴진
일요일/공휴일 : 휴진
062-972-7575
홈으로_ 커뮤니티_ 칼럼
환절기에 심해지는 피부 질환, 어떻게 관리할까?
덥고 습한 여름철에서 건조한 가을 환절기로 넘어가는 시기에는 피부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어납니다. 낮 동안 기온이 여전히 높아 땀이 많이 나고 피지 분비가 활발해지면서 피부의 열감, 염증 반응, 가려움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기 쉽습니다. 문제는 이를 단순히 '땀이 많아서 생긴다'고 오해하기 쉽다는 점입니다. 사실 이러한 증상은 피부 장벽이 약화되고 면역 균형이 무너졌다는 경고 신호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피부 질환: 두드러기와 지루성피부염
여름부터 환절기까지 악화되기 쉬운 대표적인 질환은 두드러기와 지루성피부염입니다. 두드러기는 땀을 흘린 직후 붉은 팽진과 심한 가려움이 나타나고, 지루성피부염은 얼굴과 두피에 홍반과 비듬성 각질이 심해집니다. 목 뒤, 겨드랑이, 이마, 턱처럼 땀이 잘 차는 부위는 열과 마찰, 세균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증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피부 트러블은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보다 내부 환경의 변화를 살펴야 합니다. 고온다습한 기후와 일교차는 피부 수분 증발을 촉진하고, 피지와 땀은 모공을 막아 염증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여기에 강한 자외선까지 더해지면 피부는 자극을 받아 염증과 색소침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일시적 트러블'로 넘기지 말아야
많은 환자들이 이런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치료를 미루지만, 붉어짐·가려움·뾰루지가 같은 부위에서 반복된다면 단순 열성 반응이 아니라 피부염이나 만성 염증일 수 있습니다. 조기 진료를 통해 악화 요인을 차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피부과 진료는 이러한 피부의 미세한 경고를 조기에 감지하고, 악화 요인을 제거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연고 처방을 넘어 장벽 강화 치료, 염증 조절제, 항히스타민제 등 피부 타입에 맞는 맞춤 치료가 가능합니다. 치료를 미루는 것은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피부 자극 줄이는 일상 관리법은?
피부 자극을 줄이려면 △땀 흘린 뒤 빠른 세안·샤워 △유분 적은 젤 타입 자외선 차단제 △보습 위주의 기초 화장품 △통기성 좋은 의류 착용 등이 트러블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자외선 차단제는 유분기 없는 젤 타입이나 무기 자차 성분 위주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초 화장품은 보습은 충분하되 유분은 줄인 '수분 베이스' 제품으로 바꾸고, 통기성이 좋은 옷을 착용해 피부 자극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계절에 맞는 피부 관리가 곧 건강한 일상의 첫걸음입니다.